Monday, October 28, 2019
Zero Marginal Cost Society - Jeremy Rifkin
<Zero Marginal Cost Society> - Jeremy Rifkin
한계비용 제로 사회 - 제러미 리프킨
자본주의 시스템의 기반이 흔들린다. 역설적이게도 기반을 흔들고 있는 것은 자본주의를 지배하는 운용 논리의 극적인 성공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의 논리가 최고 수준으로 성공해서 경쟁과정이 '극단적 생산성'으로 이어지고, 이른바 '전반적인 최적의 복지'가 이루어지는 시나리오를 상상해보자. 치열한 경쟁으로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은 최고점에 달한다. 생산하는 각각의 추가 단위가 '0에 가까운 한계비용'으로 생산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즉,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한계비용(marginal cost)이 0이 되어 상품을 거의 공짜로 만들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자본주의의 생명인 '이윤(profit)'이 고갈된다.
이미 이런 일은 일어나고 있다. 책을 생산해서 유통하는 한계비용은 0에 가깝게 떨어졌다. 인터넷을 통해 아주 적은 돈을 받거나 심지어 한 푼도 받지 않고 독자들에게 글을 제공하는 작가들이 늘고 있다. 출판사, 편집자, 인쇄업자, 도매업자, 유통업자, 소매업자는 필요없어졌다.
재생에너지, 3D 프린팅 제조, 온라인 강좌 등도 한계비용을 제로에 가깝게 만들었다. 이러한 추세는 재화와 서비스를 거의 무료로 나누는 공유 경제의 시대로 인도할 것이다.
재화와 서비스가 거의 공짜가 되고 이윤이 없어지며 소유가 무의미해지면 시장도 필요없어진다.
이러한 시대에 수익을 추구하는 사업체는 아주 전문화한 재화나 서비스를 찾는 고객 기반에 의존할 것이며 경제의 가장자리에서 생존할 것이다.
역사상 모든 인프라 시스템의 공통 요소는 무엇인가?
그 세 가지는 바로 1) 커뮤니케이션 매개체, 2) 에너지원(동력자원), 3) 운송 메커니즘이다.
Different - Youngme Moon (Harvard)
Different 디퍼런트 - 넘버원을 넘어 온리원으로 문영미 (Youngme Moon) Harvard 경영대학원 교수 저 I'm looking for a"difference". The incredible ar...
-
Hans J. Morgenthau , 1948 (2006, 7th edition) Politics Among Nations , chap. 1-3 * Core elements of Morgenthau's philosophy of...
-
Martin Hollis & Steve Smith,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1990 [Summary] * Social sciences thrive on...
-
Lobell, Ripsman, and Taliaferro Neoclassical realism, the state, and foreign policy 2009 This volume examines the intervening role of 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