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December 27, 2019

Different - Youngme Moon (Harvard)

Different 디퍼런트 - 넘버원을 넘어 온리원으로 

문영미 (Youngme Moon) Harvard 경영대학원 교수 저


I'm looking for a"difference".

The incredible array of choices available to consumers, Moon asserted, and the drive of businesses to stay hyper-competitive, has pounded every product and service into a remarkable "sameness."



"And what's perplexing," said Moon, "is everyone ... cares so deeply about differentiation. They're not only committed to it. They are somewhat obsessed with it. It's all they want to talk about. And yet ... all I see around me is sameness."



Another example: Google's advertising platform. It completely eliminates the possibility for creativity; no images, static font and color. But it is precisely those limitations, says Moon, that "allowed Google to build an advertising platform simpler, more flexible and more powerful than any advertising platform on earth."

 "If you want to be different," said Moon, "you must be willing to ignore your critics and in some cases your customers too."







Wednesday, November 20, 2019

Summary of Lobell, Ripsman, and Taliaferro "Neoclassical realism, the state, and foreign policy" 2009

Lobell, Ripsman, and Taliaferro
Neoclassical realism, the state, and foreign policy
2009

This volume examines the intervening role of the "state" in neoclassical realism, an emerging school of foreign policy theories.
Specifically, it seeks to explain why, how, and under what conditions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states -- the extractive and mobilization capacity of politico-military institutions, the influence of domestic societal actors and interest groups, the degree of state autonomy from society, and the level of elite or societal cohesion-- intervene between the leaders' assessment of international threats and opportunities and the actual diplomatic, military, and foreign economic policies those leaders pursue. Neoclassical realism posits an imperfect "transmission belt" between (systemic incentives and constraints) and (the actual diplomacy.)



Literature review and its limitations: The US grand strategy after the Cold War could not be explained by a systemic theory—such as neorealist balance of power theory—or a Innenpolitik theory (American domestic politics). The US emphasized its expansion to Europe and East Asia despite of low external threat level and domestic political constraints.
-       Neoclassical Realism의 주장: Thus, in neoclassical realism, state (a.k.a. central apparatus, government institutions) inhibits or facilitates the ability to assess international threats and opportunities, and to implement specific foreign policies. There is an ‘imperfect transmission belt’ between systemic constraints and the actual diplomatic policies.
-       Imperfect transmission belt를 조장하는 intervening variables: state structure, leader’s perception of relative power

Key variable: role of “state” in neoclassical realism
-       The extractive and mobilization capacity of politico-military institutions
-       The influence of domestic societal actors and interest groups
-       The degree of state autonomy from society
-       The level of elite or societal cohesion

cf. Reductionism(환원주의): 내부적 요소와 개인의 행동이라는 단일 레벨의 기본적인 요소로 복잡한 전체를 설명하려는 경향


Neoclassical realism presents a “top-down” conception of the state. It means, Systemic forces à (ultimately drive) external behavior.

l  Relative power distribution(iv)à domestic constraints(intervening var) à foreign policy(dv)

State is epitomized by a “nationanl security executive” (head of government + the ministers, officials making foreign security policy). This executive (sitting between the state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have priviliged information from politico-military apparatus, perceive systemic constraints, and deduce the national interest. (엘리트주의. 정보독점과 판단독점)


Claim of this writing(이 연구의 주장): The US grand strategies (i.e. Bush doctrine, the 2003 invasion of Iraq, and fight against Islamist terrorism in the Middle East) are outcomes of 1) executive branch dominance in national security, 2) policy entrepreneurship of neoconservatives within the administration and thinktanks, 3) and the dominance of Wilsonian ideals in US foreign policy.

 Research Questions:

1.     Threat assessment: How do states (or decision-makers) assess international threats? Who are the relevant actors within the state? How are disagreements within the state and appropriate remedies?
2.     Strategic adjustment: Who decides how to respond to threats? To what extent can domestic actors bargain/influence foreign policies? What bargains do leaders need to strike with domestic actors?
3.     Resource extraction, domestic mobilization, policy implementation: How do states mobilize the resources to pursue their security policy? How much power needed to mobilize resources? What determines who is more successful in bargaining between the state and societal groups?


Details
-       Distortion: Neoclassical realism suggests that “elite perceptions and calculations” of international pressures and a “lack of consensus” within the leadership skew the process of net assessment. Furthermore, even if elites correctly perceive the nature and magnitude of international threats, domestic political dynamics and force them into pursuing counterproductive policies. (Lebow)

-       FPE, Foreign Policy Executive: According to Lobell, FPE has responsibility for grand strategic planning. It is a group of top officials standing at the intersection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politics. The FPE must forge a coalition with various societal elites in economic sectors and interest groups.

-       Critique of liberal theories(Sterling-Folker): How can states simultaneously be both trading partners and security threats? How is it possible for military rivals to continue trading with each other despite the risk of escalating to war? Liberal theories ignore nationalism and unilateralism. According to Sterling-Folker, neoclassical realism can resolve this paradox. Group/national identity plays an enduring role in domestic/foreign policies. (i.e. interactive combination of national subgroups in Taiwan, China and the US drove their respective confrontational foreign policies)

-       Systemic variables within domestic-level (Ropsman): Ripsman hypothesizes that the more influential domestic actors will be those with sufficient power to remove national executives from office (i.e. ballot box, coups d’etat).

My thoughts (내 생각 및 추가 발전 방향)
-       Domestic constraintintervening variable이라는 것은 일리있는 이야기. 그러나 domestic eliticism도 있지만 populism도 있음. (i.e. 일본 불매운동 à 지소미아 연장 거부) 엘리트들(Lobell이 말하는 foreign policy executive(FPE))이 결정은 하지만, 여론을 무시할 수 없음.

Monday, October 28, 2019

Zero Marginal Cost Society - Jeremy Rifkin


<Zero Marginal Cost Society> - Jeremy Rifkin
한계비용 제로 사회 - 제러미 리프킨

자본주의 시스템의 기반이 흔들린다. 역설적이게도 기반을 흔들고 있는 것은 자본주의를 지배하는 운용 논리의 극적인 성공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의 논리가 최고 수준으로 성공해서 경쟁과정이 '극단적 생산성'으로 이어지고, 이른바 '전반적인 최적의 복지'가 이루어지는 시나리오를 상상해보자. 치열한 경쟁으로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은 최고점에 달한다. 생산하는 각각의 추가 단위가 '0에 가까운 한계비용'으로 생산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즉,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한계비용(marginal cost)이 0이 되어 상품을 거의 공짜로 만들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자본주의의 생명인 '이윤(profit)'이 고갈된다.

이미 이런 일은 일어나고 있다. 책을 생산해서 유통하는 한계비용은 0에 가깝게 떨어졌다. 인터넷을 통해 아주 적은 돈을 받거나 심지어 한 푼도 받지 않고 독자들에게 글을 제공하는 작가들이 늘고 있다. 출판사, 편집자, 인쇄업자, 도매업자, 유통업자, 소매업자는 필요없어졌다.

재생에너지, 3D 프린팅 제조, 온라인 강좌 등도 한계비용을 제로에 가깝게 만들었다. 이러한 추세는 재화와 서비스를 거의 무료로 나누는 공유 경제의 시대로 인도할 것이다.

재화와 서비스가 거의 공짜가 되고 이윤이 없어지며 소유가 무의미해지면 시장도 필요없어진다.

이러한 시대에 수익을 추구하는 사업체는 아주 전문화한 재화나 서비스를 찾는 고객 기반에 의존할 것이며 경제의 가장자리에서 생존할 것이다.

역사상 모든 인프라 시스템의 공통 요소는 무엇인가?
그 세 가지는 바로 1) 커뮤니케이션 매개체, 2) 에너지원(동력자원), 3) 운송 메커니즘이다.


Tuesday, October 1, 2019

IR Comprehensive exam questions


International Politics
COMPREHENSIVE EXAM
FALL 2009
GWU

Majors: choose four of the following questions.
Minors: choose three of the following questions.
Watch the time, all questions count equally.

1.      Evaluate the following statement: “All IR theory is a product of its time.” 

2.      Would international politics be notably different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non-state actors? If so how, and through what specific mechanisms do they make a difference? If not, why not?

3.      Under what circumstances might multi-method work be preferable to single-method research in international relations?  Under what circumstances might multi-method work not be preferable?

4.      How well do scholars of international politics account for change?

5.      Compare and contrast theories of cooperation and non-cooperation offered by scholars of international security on the one hand,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on the other. Why are they different? Should they be?

6.      Many scholars of comparative politics argue that American politics should simply be considered a branch of comparative politics.  In a similar vein, is it useful to think of American foreign policy as simply a branch of general international relations scholarship, or is there something different about American foreign policy?



International Relations Field Exam
January 2019
Yale University

Please answer one and only one question from each of the three sections below. Keep in mind that you will be evaluated not only on your knowledge of the relevant literature, but also on your ability to think independently and make a compelling argument.

Section I (pick one):

1. Many classic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reat states as unitary actors with well-defined national interests. Recent work in international security, IPE, and cooperation departs from this approach, as scholars devote more attention to domestic political entities, processes, and institutions. Has this turn improved the development of generalizable theories of IR? Discuss some examples, evaluate whether the gains in explanatory power merit the loss of parsimony, and specify the conditions, if any, under which the unitary actor assumption is preferable.

2. What is the role of the “rationality assumption” in IR theory? What are the pros and cons of deploying it when building a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Discuss in light of relevant examples in the scholarship.

Section II (pick one):

1. Traditional, unscientific work on the causes of war pointed to factors such as human nature, elite and bureaucratic preferences, and state motives, among many others drivers of conflict. More recently, rationalist explanations for war focus on incomplete information, commitment problems, and the indivisibility of disputed objects as the only rational causes of war. What, in light of this shift in the literature, is the role played by the “classical” causes of war mentioned above? How was this shift productive?

2. What would you advise president Trump to do regarding Iran and North Korea’s nuclear programs? Ground your advice in relevant theories and empirical evidence.

Section III (pick one):

1. In the 1980s and 1990s, IR scholars vigorously debated whether international institutions have any independent effect on state behavior. Has this debate been resolved? Summarize the realist critique and describe some ways in which international laws and institutions are theorized to affect state behavior. Is there convincing empirical evidence that institutions change outcomes? Cite specific examples and discuss how studies have dealt with obstacles to causal inference.

2. Eric Posner argues that we need to abandon international law of human rights because it lacks efficacy, and focus on development and aid instead because those are effective. Do you find this view persuasive? In making your argument, use both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including concrete examples.

Tuesday, September 10, 2019

Dream Society 미래 경영의 지배자들 - 롤프 옌센



Dream Society 미래 경영의 지배자들 - 롤프 옌센 (2017)

나는 누구인가

2000년대 초반, 전 세계적으로는 출근할 때 손에 텀블러 한 잔 들고 가는 것이 '트렌디'한 모습이 되었다. 헐리우드 스타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세련된 옷차림에 한 손에는 커피를 들고 어디론가 향하는 모습이 파파라치에게 노출되었다. 출근을 하거나 등교를 하거나 비싼 프렌차이즈 커피를 들고 출근하는 모습은 '나는 잘나가는 커리어를 가진 사람'이라는 아우라를 심어주었다. 한국에 스타벅스가 막 입점하여 스타벅스 열풍이 불기 시작할 때였다. 그 때부터 스타벅스는 단순한 '커피'가 아닌 '잘 나가는 커리어'로 비치기 시작했다.



프랑스인들은 사시사철 피부를 구릿빛으로 태우는데 애를 쓴다. 비키니를 입고 세느 강변이나 에펠탑 앞 마르스 광장에 누워있는 모습은 흔한 일상이다. 왜 휴가철도, 해변가도 아닌데 피부를 태우고 있을까? 이것은 '나는 근무지에만 갇혀있는 저급 노동자가 아니라 마음껏 돈과 시간을 쓰며 휴양지를 다닐 수 있는(그래서 피부가 타는) 고급 지적노동자이다'라는 이미지를 주기 위해서다.

세계화와 상품의 다양화로 인해 인간에게 선택지가 늘어갈수록 '나는 누구인가'를 표현할 수 있는 제품을 구입하고, 나의 (보이지 않는)계급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하려 든다. 공동체에서 개인화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시장도 개개인의 표현과 만족을 위한 마케팅으로 접어들었다. 개인의 감성을 자극한다든지, 신념을 부추긴다든지 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발망의 찢어진 티셔츠와 골든 구스의 닳아빠진 운동화가 몇 백만원씩 하는 것을 본다. 구입하자마자 낡아보이는 이러한 제품의 소비자는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내 진짜 가치를 드러내놓고 자랑하지 않아. 내가 허름해보이겠지만, 잘 봐, 아는 사람 눈에만 보일거야. 진짜 나는 엄청난 멋쟁이라는 것을.'

본 저서에서는 '21세기 신념의 시장'은 20세기의 획일적인 이념과 사회계급이 시민을 사로잡기 위해 부의 분배를 좌지우지했던 것과는 다를 것이라 예측한다. 20세기에서 대중의 갈등은 위에서 계획되고 지시될 수 있었지만, 이런 대규모 전선(macrofront)는 곧 소규모 전선(microfront)로 바뀔 것이다. 결국 개개인의 관심에 맞춘 각개전투가 벌어질 것이며, 이미 벌어지고 있다. 당신은 인권, 생태학, 환경, 유전공학, 윤리 등 모든 분야에서 당신의 신념이 어디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해야 할 것이며, 이를 옳다고 주장해야 할 것이다.


감성에의 호소

물건을 하나 팔기 위해서는 감성을 자극해야 한다. 이성적인 판단으로는 물건의 질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감성은 곧 구매력으로 이어진다. 이 광고를 보고 눈물을 흘릴 수 있거나, 우쭐해지거나. 이 물건을 가져야만 내가 더 나은 사람이 된다는 느낌을 줘야 한다.

휴가용품을 팔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휴가를 즐기는 사람들은 스스로 배우가 되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다. 휴가 동안 그들은 각자 역할을 맡아서 행복한 시간을 연출하고 싶어 한다. 휴가는 연극 무대에 비유된다. 모든 사람들은 조연이 아닌 주연이 되고 싶어한다. 따라서 평소에는 못입던 화려한 수용복, 스냅사진, 휴가용 옷 등이 불티나게 팔린다.

미래에는 감성, 가치관, 콘텐츠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하드웨어나 플랫폼이 완전히 사라질까? 나는 오히려 하드웨어나 플랫폼은 소수가 독점하는 형태로 유지될 것이라고 본다. 그들은 오히려 독과점적인 형태로 큰 돈을 벌 것이다. 모두가 그 하드웨어와 플랫폼을 사용해야 시장에 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의 계층 이동

본서에서는 부를 차지하는 계층이 자본가에서 이야기꾼(엔터테인먼드, 스포츠 선수)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21세기의 위대한 이야기꾼이 드림 소사이어티의 우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리고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감성시장(emotional market)' 뿐 아니라 모험 시장(adventure), 연대감과 사랑을 위한 시장, 관심(care)의 시장, 나는 누구인가 시장, 마음의 평안을 위한 시장, 신념(conviction)의 시장 등에 어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전망한다. 이러한 시장은 기존에도 존재했지만, 앞으로 비중이 더 높아질 것이다. 본래 인간에게는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계로 많은 부분 대체된 사회에서 사람은 관심과 사랑을 돈으로 사고 싶어할 경향이 더욱 커진다. 먹고 사는 문제에서 해방되니 자아를 찾고 실현하며, 자아를 강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위의 자극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기본 상품은 바쁘고 지능화된 소비자에게 민감하게 반응하여 간편하고 하이테크 장비와 연동되는 집, 식사, 조리 등이 이뤄질 것이다. 소비자는 이야기(지위, 소속, 모험, 생활방식)가 가미된 감성에 호소하는 제픔을 사용할 것이다. 이미 하이브랜드들은 구매자에게 지위와 소속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거래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루이비통이나 모엣샹동은 '전 세계의 호텔에 투숙하며 품위를 유지하는 사람', '내가 하는 모든 것에는 나의 취향과 감각이 배여 있는 사람' 등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또한 애플이 시작하고 LG가 표방하는 것처럼, 그 브랜드로 모든 생활가전용품을 통일하도록 종용할 수도 있다. 제품이 나의 '우아한 생활방식' 이미지를 선사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지위, 소속, 생활방식의 계급화가 중요해진다. 블루 칼라, 화이트 칼라로 구분되던 시대에서 벗어나 인간은 모든 것을 소유하고, 또 누리고 싶어한다. 따라서 일, 스포츠, 안락 모든 것을 갖춘 계급이 나머지를 견인할 것이며, 이를 투영하는 이미지가 팔릴 것이다.

다행인 것은, 미래는 한 번에 하루씩 천천히 다가온다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미래의 요구에 적응할 여유가 있다.

[2] Who will rule the world? (China) 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2)




<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이성현(세종연구소) 2019

(1) 미국은 앞 포스트에서 다룸

(2) 중국

중국은 차츰 미국이 중국을 대하는 태도가 불만이기보다 분노이고, 국력에서 미국의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는 불안에 가깝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p.90) 시진핑 국가주석이 개헌을 통해 장기집권의 길을 마련하자 미국은 중국이 독재국가의 길로 들어섰다고 본다는 점도 알았다. 어느 팟캐스트는 이제 미국은 중국 보기를 북한 보듯 한다고 우스갯소리를 했다.
 
중국에게는 꿈과 구체적인 목표, 두 가지가 다 있다. 중국의 거대 목표 중 두 개의 백년(兩個一百年)’이 있다. 첫 번째 백 년은 중국공산당 창설 100주년을 맞이해 전면적 소강사회(중산층사회) 건설이고 두 번째 백 년은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100주년이 되는 2049년까지 시진핑이 주창한 중화 민족의 위대한 부흥의 꿈’(중국몽)을 실현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설립된 후 마오쩌둥은 30년동안 전체주의 이념으로 국가를 이끌었다. 마오쩌둥 이후 30년은 개혁개방의 시기였다. 80년대 덩샤오핑은 중국의 야심을 밖으로 드러내지 않고 야심을 품고 기다리는도광양회를 주장했다. 특히 중국은 미국과의 충돌을 피하고자 했다.
90년대 초 장쩌민 주석은 대국으로서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겠다며 책임대국론유소작위를 주장했으나, 2000년대가 되자 중국의 무시할 수 없는 경제 성장에 주변국들이 난색을 표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중국 후진타오가 내놓은 것이 화평굴기화평발전론이었다. 중국이 성장은 하되 기존의 국제질서 속에서 조화롭게 평화를 이루며 공동의 번영을 추구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중국이 어느 정도 성장했다고 판단한 시진핑은 도광양회화평발전을 적극적으로 탈피하고 나왔다. 이것이 2017년 시진핑 사상으로 발표된 신시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
 

참고: [신해혁명 100년 중국을 알자] 불칭패 도광양회 유소작위 화평굴기 돌돌핍인 / 중앙일보 특별취재팀 2011.01.03 https://news.joins.com/article/4874125
 

시진핑은 시진핑 사상과 중국몽을 발표하며 이를 이룰 사명이 자신의 어깨 위에 있다고 믿고 있다. 시진칭 체제 하에서 중국은 엎드린 중국에서 우뚝 선 중국으로 변하고 있으며, 평화롭게 공존하는 중국에서 싸우면 이기는 중국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시진핑은 싸움에 능해야만 전쟁을 막을 수 있고, 전쟁 태세를 갖추어야만 싸움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한다.(89) 전 세계도 이를 지켜보고 있지만 저지도 응원도 하지 못하는 처지다.
 
중국통이라고 인정받는 전 호주 총리 Kevin Rudd(케빈 러드)시진핑을 이해할 때 변증법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변증법은 정--합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시진핑의 사고가 줄곧 변증법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추구하는 길)-(미국의 저지)-(미국을 극복한 중국)이 시진핑이 이해하는 중국의 길인 것이다. 이것은 20186월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열린 좌담회에서 시진핑이 확고히 고난을 극복하고, 도전에 대응한다는 의지와 결심을 가지라고 당부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미중 무역전쟁을 피하기보다는 도전에 직면하고 이를 극복해 중국이 더 강해지는 기회로 삼으라는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의 발로다.
 
(3) 미국과 중국

장기적으로 중국의 성장을 추리해보자. 경제적으로 중국은 미국을 넘어서는 초강국이 될 수 있을까? 우선 중국의 전략은 미국을 뺀 나머지 국가들과 연합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동남아, 아프리카와의 연대를 끈끈하게 쌓아가고 있다. 영토분쟁을 빚었던 필리핀과는 남중국해 자원 공동개발에 합의, 러시아와는 중러 대규모 합동훈련, 인도네시아와는 33조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 체결 모두 2018년에 중국이 달성한 성과다. 단기적으로는 중국이 고생하겠지만, 시간은 중국 편이다.

미국의 지난 40년 간의 대 중국 관여 정책(engagement policy)는 실패했다는 진단이 나오는 것도 여기서부터다중국을 적대시하지 않고 미국 중심의 국제 질서 속으로 중국을 포섭하고자 했던 전략이 실패했다는 인식이다미국이 희망적인 사고로 중국의 부상을 용인했다는 자아성찰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국의 아킬레스 건이라고 한다면 미국에 비해 절대수세에 놓인 군사력이다. 그래서 중국은 아직 미국과의 정면충돌을 피하고 있다. 대신 북한을 두고 미, 중은 서로의 힘과 영향력을 투사하기도 한다. 북한 문제는 강대국이 직접 충돌하기 보다는 중간에 놓인 약소국을 통해 대리전(proxy war)을 벌이는 양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p.140)

오바마-시진핑 정상회담으로 유명했던 2013년 미국 서니랜드에서는 양국이 중국의 신형대국관계모델에 동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러나 실상은 이와 달랐다. 중국이 말하는 신형대국관계란, 미국이 중국의 앞마당인 아시아를 내어두면, 중국도 미국의 이익에 훼방을 놓지 않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이 대만이나 홍콩의 문제에 개입하지 않고, 중국은 중동 문제 등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미국은 이를 인정할 수 없었으므로 서로 간의 전략적 모호성으로 남겨두고 표면상 악수를 하고 회담을 마무리했다.(p.127) 그러나 시간이 지나 중국의 군사력과 경제력이 한층 높아졌을 경우를 가정한다면, 언제까지 미국이 이를 거절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만약 오바마의 태평양 시대’, ‘Pivot to Asia’에서 가장 멀어진 미국을 마주했을 때, 우리는 또다시 중국의 속국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을 마련해야 할까.
  
유라시아그룹의 회장이자 정치학자인 Ian Bremmer(이언 프레머)는 세계가 G-Zero World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p.105) 미국도, 중국도 유일한 슈퍼파워가 아니고, 그렇다고 양극 체제도 아닌 극 부재의 세계다. 한국은 그간 국제질서 속에서 미-중 관계의 종속변수로 작용하는 지정학적 경험을 해 왔다. 냉전 이후 미국 우위의 국제질서 속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해온 한국은, 이제 다시 미-중의 기싸움에 휘말리게 될까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전략이 언제까지 타국의 종속변수 역할에 그쳐야 하는지가 의문이다.
  
한국과 비슷한 경우이지만 훨씬 강한 외교력을 보여주고 있는 싱가포르가 있다. 싱가포르는 나라도 작지만, 미국과 중국 모두와 사이좋게 지내는 놀라운 외교력을 보여준다. 리콴유 전 총리의 개인적인 능력에서 비롯된 것일지 모른다. 싱가포르는 처음부터 중국에 대한 입장을 뚜렷하게 전했다. 1) 중국과의 교류는 환영하지만, 절대 중국의 공산주의 체제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이었다. 이는 싱가포르의 중국화를 사전 차단한 것이었다. 2) 중요한 것은 이렇나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라고 했다. 중국을 적대시하지 않는 느낌을 주면서 꾸준히 중국에 설명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3) 싱가포르는 중국과 대만 간 관계 개전에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이를 바탕으로 싱가포르는 강점인 금융, 서비스업, 고부가가치 제조업을 기반으로 두 나라와 사이좋게 지내고 있다.
 

한국은 미-중 간에 선택을 종용받고 있다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미국과 중국이 본인의 편에 서라고 요청할 때 선택을 내리는 것이 나은 결말일 수 있다외교적경제적 맷집을 키워놓지 않으면 양 쪽에서 모두 두드려맞고 버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우리나라의 국력(군사력과 경제력)을 빠르게 성장시켜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Different - Youngme Moon (Harvard)

Different 디퍼런트 - 넘버원을 넘어 온리원으로  문영미 (Youngme Moon) Harvard 경영대학원 교수 저 I'm looking for a"difference". The incredible 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