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September 10, 2019

Dream Society 미래 경영의 지배자들 - 롤프 옌센



Dream Society 미래 경영의 지배자들 - 롤프 옌센 (2017)

나는 누구인가

2000년대 초반, 전 세계적으로는 출근할 때 손에 텀블러 한 잔 들고 가는 것이 '트렌디'한 모습이 되었다. 헐리우드 스타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세련된 옷차림에 한 손에는 커피를 들고 어디론가 향하는 모습이 파파라치에게 노출되었다. 출근을 하거나 등교를 하거나 비싼 프렌차이즈 커피를 들고 출근하는 모습은 '나는 잘나가는 커리어를 가진 사람'이라는 아우라를 심어주었다. 한국에 스타벅스가 막 입점하여 스타벅스 열풍이 불기 시작할 때였다. 그 때부터 스타벅스는 단순한 '커피'가 아닌 '잘 나가는 커리어'로 비치기 시작했다.



프랑스인들은 사시사철 피부를 구릿빛으로 태우는데 애를 쓴다. 비키니를 입고 세느 강변이나 에펠탑 앞 마르스 광장에 누워있는 모습은 흔한 일상이다. 왜 휴가철도, 해변가도 아닌데 피부를 태우고 있을까? 이것은 '나는 근무지에만 갇혀있는 저급 노동자가 아니라 마음껏 돈과 시간을 쓰며 휴양지를 다닐 수 있는(그래서 피부가 타는) 고급 지적노동자이다'라는 이미지를 주기 위해서다.

세계화와 상품의 다양화로 인해 인간에게 선택지가 늘어갈수록 '나는 누구인가'를 표현할 수 있는 제품을 구입하고, 나의 (보이지 않는)계급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하려 든다. 공동체에서 개인화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시장도 개개인의 표현과 만족을 위한 마케팅으로 접어들었다. 개인의 감성을 자극한다든지, 신념을 부추긴다든지 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발망의 찢어진 티셔츠와 골든 구스의 닳아빠진 운동화가 몇 백만원씩 하는 것을 본다. 구입하자마자 낡아보이는 이러한 제품의 소비자는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내 진짜 가치를 드러내놓고 자랑하지 않아. 내가 허름해보이겠지만, 잘 봐, 아는 사람 눈에만 보일거야. 진짜 나는 엄청난 멋쟁이라는 것을.'

본 저서에서는 '21세기 신념의 시장'은 20세기의 획일적인 이념과 사회계급이 시민을 사로잡기 위해 부의 분배를 좌지우지했던 것과는 다를 것이라 예측한다. 20세기에서 대중의 갈등은 위에서 계획되고 지시될 수 있었지만, 이런 대규모 전선(macrofront)는 곧 소규모 전선(microfront)로 바뀔 것이다. 결국 개개인의 관심에 맞춘 각개전투가 벌어질 것이며, 이미 벌어지고 있다. 당신은 인권, 생태학, 환경, 유전공학, 윤리 등 모든 분야에서 당신의 신념이 어디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해야 할 것이며, 이를 옳다고 주장해야 할 것이다.


감성에의 호소

물건을 하나 팔기 위해서는 감성을 자극해야 한다. 이성적인 판단으로는 물건의 질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감성은 곧 구매력으로 이어진다. 이 광고를 보고 눈물을 흘릴 수 있거나, 우쭐해지거나. 이 물건을 가져야만 내가 더 나은 사람이 된다는 느낌을 줘야 한다.

휴가용품을 팔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휴가를 즐기는 사람들은 스스로 배우가 되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다. 휴가 동안 그들은 각자 역할을 맡아서 행복한 시간을 연출하고 싶어 한다. 휴가는 연극 무대에 비유된다. 모든 사람들은 조연이 아닌 주연이 되고 싶어한다. 따라서 평소에는 못입던 화려한 수용복, 스냅사진, 휴가용 옷 등이 불티나게 팔린다.

미래에는 감성, 가치관, 콘텐츠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하드웨어나 플랫폼이 완전히 사라질까? 나는 오히려 하드웨어나 플랫폼은 소수가 독점하는 형태로 유지될 것이라고 본다. 그들은 오히려 독과점적인 형태로 큰 돈을 벌 것이다. 모두가 그 하드웨어와 플랫폼을 사용해야 시장에 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의 계층 이동

본서에서는 부를 차지하는 계층이 자본가에서 이야기꾼(엔터테인먼드, 스포츠 선수)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21세기의 위대한 이야기꾼이 드림 소사이어티의 우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리고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감성시장(emotional market)' 뿐 아니라 모험 시장(adventure), 연대감과 사랑을 위한 시장, 관심(care)의 시장, 나는 누구인가 시장, 마음의 평안을 위한 시장, 신념(conviction)의 시장 등에 어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전망한다. 이러한 시장은 기존에도 존재했지만, 앞으로 비중이 더 높아질 것이다. 본래 인간에게는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계로 많은 부분 대체된 사회에서 사람은 관심과 사랑을 돈으로 사고 싶어할 경향이 더욱 커진다. 먹고 사는 문제에서 해방되니 자아를 찾고 실현하며, 자아를 강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위의 자극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기본 상품은 바쁘고 지능화된 소비자에게 민감하게 반응하여 간편하고 하이테크 장비와 연동되는 집, 식사, 조리 등이 이뤄질 것이다. 소비자는 이야기(지위, 소속, 모험, 생활방식)가 가미된 감성에 호소하는 제픔을 사용할 것이다. 이미 하이브랜드들은 구매자에게 지위와 소속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거래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루이비통이나 모엣샹동은 '전 세계의 호텔에 투숙하며 품위를 유지하는 사람', '내가 하는 모든 것에는 나의 취향과 감각이 배여 있는 사람' 등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또한 애플이 시작하고 LG가 표방하는 것처럼, 그 브랜드로 모든 생활가전용품을 통일하도록 종용할 수도 있다. 제품이 나의 '우아한 생활방식' 이미지를 선사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지위, 소속, 생활방식의 계급화가 중요해진다. 블루 칼라, 화이트 칼라로 구분되던 시대에서 벗어나 인간은 모든 것을 소유하고, 또 누리고 싶어한다. 따라서 일, 스포츠, 안락 모든 것을 갖춘 계급이 나머지를 견인할 것이며, 이를 투영하는 이미지가 팔릴 것이다.

다행인 것은, 미래는 한 번에 하루씩 천천히 다가온다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미래의 요구에 적응할 여유가 있다.

[2] Who will rule the world? (China) 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2)




<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이성현(세종연구소) 2019

(1) 미국은 앞 포스트에서 다룸

(2) 중국

중국은 차츰 미국이 중국을 대하는 태도가 불만이기보다 분노이고, 국력에서 미국의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는 불안에 가깝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p.90) 시진핑 국가주석이 개헌을 통해 장기집권의 길을 마련하자 미국은 중국이 독재국가의 길로 들어섰다고 본다는 점도 알았다. 어느 팟캐스트는 이제 미국은 중국 보기를 북한 보듯 한다고 우스갯소리를 했다.
 
중국에게는 꿈과 구체적인 목표, 두 가지가 다 있다. 중국의 거대 목표 중 두 개의 백년(兩個一百年)’이 있다. 첫 번째 백 년은 중국공산당 창설 100주년을 맞이해 전면적 소강사회(중산층사회) 건설이고 두 번째 백 년은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100주년이 되는 2049년까지 시진핑이 주창한 중화 민족의 위대한 부흥의 꿈’(중국몽)을 실현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설립된 후 마오쩌둥은 30년동안 전체주의 이념으로 국가를 이끌었다. 마오쩌둥 이후 30년은 개혁개방의 시기였다. 80년대 덩샤오핑은 중국의 야심을 밖으로 드러내지 않고 야심을 품고 기다리는도광양회를 주장했다. 특히 중국은 미국과의 충돌을 피하고자 했다.
90년대 초 장쩌민 주석은 대국으로서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겠다며 책임대국론유소작위를 주장했으나, 2000년대가 되자 중국의 무시할 수 없는 경제 성장에 주변국들이 난색을 표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중국 후진타오가 내놓은 것이 화평굴기화평발전론이었다. 중국이 성장은 하되 기존의 국제질서 속에서 조화롭게 평화를 이루며 공동의 번영을 추구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중국이 어느 정도 성장했다고 판단한 시진핑은 도광양회화평발전을 적극적으로 탈피하고 나왔다. 이것이 2017년 시진핑 사상으로 발표된 신시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
 

참고: [신해혁명 100년 중국을 알자] 불칭패 도광양회 유소작위 화평굴기 돌돌핍인 / 중앙일보 특별취재팀 2011.01.03 https://news.joins.com/article/4874125
 

시진핑은 시진핑 사상과 중국몽을 발표하며 이를 이룰 사명이 자신의 어깨 위에 있다고 믿고 있다. 시진칭 체제 하에서 중국은 엎드린 중국에서 우뚝 선 중국으로 변하고 있으며, 평화롭게 공존하는 중국에서 싸우면 이기는 중국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시진핑은 싸움에 능해야만 전쟁을 막을 수 있고, 전쟁 태세를 갖추어야만 싸움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한다.(89) 전 세계도 이를 지켜보고 있지만 저지도 응원도 하지 못하는 처지다.
 
중국통이라고 인정받는 전 호주 총리 Kevin Rudd(케빈 러드)시진핑을 이해할 때 변증법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변증법은 정--합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시진핑의 사고가 줄곧 변증법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추구하는 길)-(미국의 저지)-(미국을 극복한 중국)이 시진핑이 이해하는 중국의 길인 것이다. 이것은 20186월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열린 좌담회에서 시진핑이 확고히 고난을 극복하고, 도전에 대응한다는 의지와 결심을 가지라고 당부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미중 무역전쟁을 피하기보다는 도전에 직면하고 이를 극복해 중국이 더 강해지는 기회로 삼으라는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의 발로다.
 
(3) 미국과 중국

장기적으로 중국의 성장을 추리해보자. 경제적으로 중국은 미국을 넘어서는 초강국이 될 수 있을까? 우선 중국의 전략은 미국을 뺀 나머지 국가들과 연합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동남아, 아프리카와의 연대를 끈끈하게 쌓아가고 있다. 영토분쟁을 빚었던 필리핀과는 남중국해 자원 공동개발에 합의, 러시아와는 중러 대규모 합동훈련, 인도네시아와는 33조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 체결 모두 2018년에 중국이 달성한 성과다. 단기적으로는 중국이 고생하겠지만, 시간은 중국 편이다.

미국의 지난 40년 간의 대 중국 관여 정책(engagement policy)는 실패했다는 진단이 나오는 것도 여기서부터다중국을 적대시하지 않고 미국 중심의 국제 질서 속으로 중국을 포섭하고자 했던 전략이 실패했다는 인식이다미국이 희망적인 사고로 중국의 부상을 용인했다는 자아성찰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국의 아킬레스 건이라고 한다면 미국에 비해 절대수세에 놓인 군사력이다. 그래서 중국은 아직 미국과의 정면충돌을 피하고 있다. 대신 북한을 두고 미, 중은 서로의 힘과 영향력을 투사하기도 한다. 북한 문제는 강대국이 직접 충돌하기 보다는 중간에 놓인 약소국을 통해 대리전(proxy war)을 벌이는 양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p.140)

오바마-시진핑 정상회담으로 유명했던 2013년 미국 서니랜드에서는 양국이 중국의 신형대국관계모델에 동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러나 실상은 이와 달랐다. 중국이 말하는 신형대국관계란, 미국이 중국의 앞마당인 아시아를 내어두면, 중국도 미국의 이익에 훼방을 놓지 않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이 대만이나 홍콩의 문제에 개입하지 않고, 중국은 중동 문제 등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미국은 이를 인정할 수 없었으므로 서로 간의 전략적 모호성으로 남겨두고 표면상 악수를 하고 회담을 마무리했다.(p.127) 그러나 시간이 지나 중국의 군사력과 경제력이 한층 높아졌을 경우를 가정한다면, 언제까지 미국이 이를 거절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만약 오바마의 태평양 시대’, ‘Pivot to Asia’에서 가장 멀어진 미국을 마주했을 때, 우리는 또다시 중국의 속국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을 마련해야 할까.
  
유라시아그룹의 회장이자 정치학자인 Ian Bremmer(이언 프레머)는 세계가 G-Zero World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p.105) 미국도, 중국도 유일한 슈퍼파워가 아니고, 그렇다고 양극 체제도 아닌 극 부재의 세계다. 한국은 그간 국제질서 속에서 미-중 관계의 종속변수로 작용하는 지정학적 경험을 해 왔다. 냉전 이후 미국 우위의 국제질서 속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해온 한국은, 이제 다시 미-중의 기싸움에 휘말리게 될까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전략이 언제까지 타국의 종속변수 역할에 그쳐야 하는지가 의문이다.
  
한국과 비슷한 경우이지만 훨씬 강한 외교력을 보여주고 있는 싱가포르가 있다. 싱가포르는 나라도 작지만, 미국과 중국 모두와 사이좋게 지내는 놀라운 외교력을 보여준다. 리콴유 전 총리의 개인적인 능력에서 비롯된 것일지 모른다. 싱가포르는 처음부터 중국에 대한 입장을 뚜렷하게 전했다. 1) 중국과의 교류는 환영하지만, 절대 중국의 공산주의 체제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이었다. 이는 싱가포르의 중국화를 사전 차단한 것이었다. 2) 중요한 것은 이렇나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라고 했다. 중국을 적대시하지 않는 느낌을 주면서 꾸준히 중국에 설명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3) 싱가포르는 중국과 대만 간 관계 개전에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이를 바탕으로 싱가포르는 강점인 금융, 서비스업, 고부가가치 제조업을 기반으로 두 나라와 사이좋게 지내고 있다.
 

한국은 미-중 간에 선택을 종용받고 있다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미국과 중국이 본인의 편에 서라고 요청할 때 선택을 내리는 것이 나은 결말일 수 있다외교적경제적 맷집을 키워놓지 않으면 양 쪽에서 모두 두드려맞고 버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우리나라의 국력(군사력과 경제력)을 빠르게 성장시켜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Friday, September 6, 2019

[1] US-China war, Who will rule the world?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이성현(세종연구소) 2019
 

(1) 미국


국가의 3요소는 영토, 국민, 주권이다. 영토를 지키기 위해서는 힘이 필요하고,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는 법이 필요하다. 주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외교가 필요하다. 국가는 스스로를 지키는 범위를 넘어서 세력을 확장하고,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자 했다. 두 차레의 첨난한 세계대전을 치른 후 국가들은 세계질서를 재편했다. 속으로는 팽창에 대한 야욕과 경제적 이익이라는 복심을 가지고서도 겉으로는 이성과 논리와 이데올로기로 포장하는 것이 외교의 술수인 듯 보였.
그러나 트럼프는 미국을 지키고, 강한 미국을 만들기 위해 솔직해졌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거래지향적 국가관계 힘에 의한 평화. 이러한 정책적 기조는 동맹국에 대한 미국의 강경노선 반중정서라는 현실로 구체화되었다. 놀라운 것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와 같은 정책이 즉흥적이고 좌충우돌하는 착안이 아니라 지난 20여년 간 미국 사회가 느끼는 중국에 대한 피로감이 쌓인 결과라는 것이다. 미국은 그동안 친중 비즈니스와 로비를 해왔지만 지적재산권 침해, 해킹, 차별적 비즈니스 및 중국시장 접근 제한 등으로 불만이 누적되어 왔다. 이 불만이 임계점을 넘어 탄생한 것이 트럼프 행정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들여다보면 의외로 날카롭고 윤곽이 뚜렷하다는 지적이다.
 
트럼프는 혼돈과 분열의 세대에 확실한 차별 전략으로 미국 국민에게 인식되었다. 오바마 행정부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팍스아메리카나와 경찰국가 정책은 사안에 따라 흔들리고 환경에 따라 변화했다. 따라서 모든 사안마다 국민은 분열했고 서로의 주장을 정책에 반영시키고자 했다. 이것이 미국이 추구하는 민주주의이기도 했다. 반면 트럼프는 국민이 원하긴 하지만 감히 주장하지 못했던반이민정책, 반중주의등을 내세움으로서 확실한 변화와 혁신을 보여주었다. 이는 군중심리를 자극했고, 그의 지지자들이 더욱 결집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트럼프 진영에는 크게 선거캠프출신, 당선후 영입한 전문인집단, 가족이라는 세 가지 집단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어쩌면 당연하게도 경쟁양상을 보였다. 초반부터 어느 집단이 주도권을 잡거나 도태될 지가 관건이었다. 게다가 트럼프는 내부 경쟁을 잠재우기보다는 부추기는 성향이었으니 결과는 둘 중 하나였다. 트럼프의 노선에 맞추어 열심을 내는 정치인이 되거나, 트럼프 정책에 환멸을 느끼고 자진 사퇴하거나. 제임스 매티스 전 국방장관이 후자의 예다. 이로 볼 때 트럼프는 철저히 자기 사람이라고 생각되는 사람을 끌어주고, 조금이라도 반기를 드는 사람은 가차없이 내치는 성격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게다가 트럼프는 카지노를 운영했던 비즈니스맨이다. 외교 무대에서도 역시 도박적인 성향이 드러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더 높은 리스크가 더 많은 이득을 가져다준다는 도박 식의 외교 해석이 그의 협상 스타일에서 드러난다. 그런데 문제는 중국의 지도자 시진핑 역시 중화 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부르짖으며 강한 지도자 이미지를 추구하고 있으므로 트럼프 대 시진핑은 누구도 물러서지 않는 강 대 강 국면을 보여주고 있다.



(트럼프의 대중정책 전략가인 피터 나바로가 Foreign Policy에 기고한 글.
그가 얼마나 트럼프 이전 행정부의 정책에 비판적이며 중국에 대해 강경한지 알 수 있다.)


2030년이면 미국과 중국의 GDP가 같아진다는 다수의 예측 보고서가 있다.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고 장기적으로 중국의 경제적 우위를 막기 위해 러시아를 포섭하기 시작했다. 러시아의 입장에서는 당황스러웠을 것이다. 트럼프 대선 캠프부터 미국의 진위가 의심스럽다며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여온 러시아다. 그러나 트럼프는 지속해서 우리의 오래된 동맹과 좋은 관계를 맺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했으며, 러시아에 대한 발언은 수위를 조절했다. 미국이 러시아의 한 쪽 팔을 붙듬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은 결국 중국 견제다. 또한 미국은 아시아에서 미-일 동맹을 강화시켜 중국을 더욱 압박할 예정이다. 이것이 한-일 간 경제 전쟁이 발생하자 미국이 두말할 것 없이 한국을 차치하고 일본편을 들고 있는 이유다.
 
금번 트럼프 행정부의 독자적 행보는 가히 놀랍다. 미국의 TPP(Trans-Pacific Partnership) 탈퇴, 국제기구(UNESCO) 탈퇴,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 등 잇단 미국중심주의 행보는 세계를 난감하게 만들었다. 게다가 중국을 대놓고 적대시하는 분위기 역시 다른 행정부와 차별화된다. 하나의 강국을 자신있게 배제하는 것이 두려움을 덜 느낀다는데서 미국의 숨겨져 있던 배짱을 엿볼 수 있다.


미국은 미국우선주의‘, ’강한 미국을 내세우며 국민을 견인하고 있다. 중국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인 중국몽(中國夢)을 심어주며 중국제조2025를 통해 2049년에는 세계 1위의 첨단 제조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 아래 기술굴기, 경제굴기, 군사굴기를 실제로 꾀하고 있다. 사람도 꿈이 있을 때 성장하고 집중하듯, 우리나라에도 꿈과 비전을 제시할 사람이 필요하다. 그래서 어찌 보면 트럼프나, 시진핑, 리커창 같은 사람이 부럽다. 우리에게는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견인해나갈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

- (2) 중국은 다음 포스트에

Different - Youngme Moon (Harvard)

Different 디퍼런트 - 넘버원을 넘어 온리원으로  문영미 (Youngme Moon) Harvard 경영대학원 교수 저 I'm looking for a"difference". The incredible ar...